기업별 국내특허현황

기업분석 특허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박사엄마 2022. 8. 6. 16:47
728x90

★무단복사(캡쳐)금지★


아래글은 개인적으로
키프리스에서 검색 가능한
국내특허(공개된 특허출원 or
특허권) 자료들을 기반으로

조사한 후 분류, 정리 및

개인적인 의견이 첨부된
단순 참고용 글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어렸을 때의 주변생활환경와

현재의 주변생활환경에서 가장

많이 변했다고 느낄때는 가정, 식당 등

주변에서 로봇 제품들이 자주 

보인다는 점이다. 

 

로봇의 활용분야는 더욱 더

확대되고 있고, 그 성장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한

기사 내용에 의하면, 시장조사업체 OMDIA

에서 로봇산업의 2026년 산업규모를

약348조원 정도로 보고 있다고 한다.

("위드 로봇(With Robot) 시대의 K-로봇",

전자신문 etnews, 2022/03/15 참조

 

관련된 여러 기업들이 있지만, 

국내 최초로 인간형 이족보행로봇을

제작한 기업은 바로 "레인보우로보틱스"이다. 

그리고 한 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일하게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리서치알음 "레인보우로보틱스, 

자율이동로봇 내년출시...

全분야 활용기대", 김경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2022/07/13 참조)

 

오늘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국내특허

보유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한다.

 

2022년 8월 6일 기준으로 

키프리스에 공개된 특허자료에

기반하여, 정리/분류/개인적인

의견을 첨부한다. 


(1) 등록 및 공개현황

2020년에 한국과학기술원으로 

이전한 특허 ("우주물체 감시장치") 1건을

제외하고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업명의의 특허 총 14건이다. 

 

이 중 12건은 등록이 완료된 특허권이며, 

나머지 2건만이 현재 공개된 출원인바, 

권리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2) 권리관계현황

로봇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특허들은 100% 해당 기업의

단독특허이다. 

 

단독출원을 통해 단독특허권을

획득하였고, 진행중인 특허출원건들도

단독출원인바, 관련 기술의 

독점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3) 분야별 현황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특허들은

모두 로봇분야와 관련된 기술들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BLDC(Brushless DC)

모터와 관련된 특허가 5건 (35.7%), 

로봇제어 시스템와 관련된 특허가 4건(28.6%), 

로봇 부품와 관련된 특허가 3건 (21.4%),

서비스 로봇/모바일 산업용 로봇 관련 특허가

2건 (14.3%)이다. 

 

 

1) 먼저, BLDC(Brushless DC)모터와

관련된 특허는 로봇분야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제품, 산업기기 제품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기에 별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1)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는 BLDC 모터의 

스테이터에 코일의 권선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2) 두번째로 비중이 높은 세부분야는 로봇

제어 시스템와 관련된 기술로서 4건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모두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로봇 시스템와 관련된 것으로서, 

 

2-1) 실시간 로봇 시스템/제어장치/제어방법에

관한 특허 1건

 

2-2) GPOS(General Purpose Operation System)

연동형 실시간 로봇 제어 시스템/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관련 특허 1건, 

 

2-3) 계층적 아키텍처 또는 스텝 기반

실시간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관련

기술에 관한 특허 2건을 보유하고 있다. 

 

 

3) 뿐만 아니라 로봇 부품와 관련된 특허도

3건 보유하고 있다. 

 

3-1) 직렬탄성 액추에이터 장치/제어 기술에

관하여 2건의 특허를 가지고 있으며, 

 

3-2) 로봇 관절 등에 사용되는 구동축을

위한 브레이킹 장치에 관하여 1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4) 서비스 로봇 또는 모바일 산업용 로봇에

관하여도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4-1) 파티나 전시회장 등에서 프로젝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서비스 로봇에

관한 특허 1건

 

4-2) 다중 전방향 휠을 이용해서 다양한

산업환경에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모바일 로봇 장치 및 동작 기술에 관한

특허 1건을 보유하고 있다. 

 

 

(4) 년도별 출원현황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6년에 실시간 로봇

제어 시스템, 서비스 로봇 등 로봇분야와 관련된

특허 출원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관련 기술에 대해

특허기술을 획득해오고 있다. 

 

또한 2019년에는 로봇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BLDC(Brushless DC) 

모터와 관련된 기술분야에 대한 특허출원을

하여 작년 즉 2021년에 관련기술 모두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하였다. 

 

또한 2020년에는모바일 산업용 로봇에

대한 기술에 대하여도 특허출원을 하여

진행중이다. 

 


한 기사에 따르면, 레인보우 로보틱스

기업이 우수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현대로템와 방산용 사족보행로봇 개발 등

민간업체와 로봇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리서치알음 "레인보우로보틱스,

자율이동로봇 내년출시...

全분야 활용기대"", 김경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2022/07/13 참조)

 

뿐만 아니라,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의

신규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는데,

해당 과제의 총 사업비는 약 160억원이라고 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 민군겸용 기술개발 사업 

국책 과제 선정", 유준하 기자, 이데일리, 

2022/08/06 참조)

 

앞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와 

민간업체와의 연구개발 및 

국책과제를 통한 연구개발을 

통해 지금보다 더 우수한

로봇기술력을 확보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고성장을 해나갈것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보며

오늘글을 마칩니다. 

 

 

 

728x90